Git

Git

vscode에 github 클론해와서 첫 브랜치 세팅하는 법

여러명이 같이 작업을 하는 깃허브에서 메인 브런치를 클론해와서 나만의 브랜치로 따로 만들어야 나만의 버전에서 자유롭게 코딩을 할 수 있다. 1. 한명이 깃허브 메인 브랜치에 git push를 해 놓는다 2. 나머지 동료들이 그 메인 브런치를 git clone 해온다 git clone 3. main이나 master 브랜치 둘 중 하나가 받아졌을 것이다. 이제 나만의 브랜치를 파자 git checkout -b 새브랜치명 (-b 라는 것이 새로 만든다라는 뜻이다. git checkout 브랜치명 으로 치면 그 브랜치로 이동하는 것) 4. 각자 만든 브랜치에 자기가 맡은 기능을 구현한다 5. git add . 6. git commit -m "남길 메세지" 7.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8. gith..

Git

Github 수정사항 버전 생성

1. vscode 터미널에 git status 입력 (modified 된 내용이 빨간 글자로 뜬다) 2. git add . 3. git commit -m '남길 내용' 4. git log (만든 버전들을 목록으로 확인 가능) 대문자 HEAD라고 뜨는 것이 현재 최신의 상태이다. 5. git push origin main (깃허브에 업로드 완료)

Git

vscode에서 깃허브로 폴더 업로드하는 법

1. vscode 터미널 열기 2. git init 3.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 (mas OS일 경우는 input 입력) (개행문자(Newline)설정 = OS마다 줄 바꿈에 대한 문자열이 다르기 때문에 git에서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 경고 메시지를 띄워 주는 것을 해결) 4.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'이름' (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으나 같게 해주면 좋음) 5.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'깃허브 이메일' 6. git config --global --list (세팅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) 7. git status (현재 버전관리 상태 확인) 8. git add . 9. git commit -..

zerobeen
'Git' 카테고리의 글 목록